728x90
반응형
재테크 입문자를 위한 워크북 시리즈 ⑨
“이제 당신만의 전략이 필요합니다” – 초보 투자자 포트폴리오 점검표 만들기
📌 Intro: 잘하고 있는 건지 모르겠어요
직장인 L씨는 1년간 ETF에 꾸준히 투자했습니다.
하지만 막상 자신의 전략을 말해보라면 머뭇거리게 됩니다.
“그냥... 매달 조금씩 사고 있어요.”
“종목은... 주변에서 좋다던 거 샀고요...”
“위기 때요? 그냥 무서웠죠...”
📉 많은 초보 투자자들이
‘투자는 하고 있지만, 전략은 없다’는 함정에 빠집니다.
이번 편에서는 ‘투자하는 사람’에서 ‘전략을 가진 투자자’가 되는 방법을 안내드릴게요.
🧩 투자 전략을 구성하는 5가지 핵심 항목
- 투자 목표
- 투자 자산군 (ETF, 예금 등)
- 비중 및 리밸런싱 계획
- 자동매수 루틴
- 위기 대응 원칙
🧾 실제 예시: 29세 직장인 L씨의 포트폴리오 전략표
항목 내용
🎯 투자 목표 | 5년 내 전세자금 마련 (자기자본 4,000만 원 확보) |
💼 투자 자산군 |
- TIGER 미국S&P500 ETF (40%)
- KODEX 미국채 10년 ETF (30%)
- 정기예금 (20%)
- CMA통장 (10%) | | ⚖️ 비중/리밸런싱 |
- 매년 1회 리밸런싱
- 기준: ETF 비중이 ±10% 이상 틀어지면 조정 | | 🔁 자동매수 루틴 |
- 매월 30만 원 투자
- 20만 원: 미국S&P500
- 7만 원: 미국채
- 3만 원: 예금 자동이체 | | ⚠️ 위기 대응 원칙 |
- S&P500 기준 -20%까지는 추가 매수 고려
- 손실 구간에서는 계좌 미확인
- 위기 시 3일 관망 후 판단
- 자동매수는 중단하지 않음 |
📘 직접 워크북을 써보는 법
이제는 여러분 차례입니다.
아래 표를 복사하거나, 노션/엑셀로 정리해서
자신만의 투자 전략표를 만들어보세요.
항목 나의 작성
🎯 투자 목표 | 예: 3년 내 차량 구입, 10년 후 노후 준비 등 |
💼 자산군 구성 | ETF, 예금, 적금, 현금 등 구성하기 |
⚖️ 비중 & 리밸런싱 계획 | 비중 % 입력 및 리밸런싱 주기 설정 |
🔁 자동매수 루틴 | 증권사 앱에 설정한 내용 기재 |
⚠️ 위기 대응 원칙 | 내가 감정적으로 불안할 때 꺼내볼 수 있는 행동 원칙 |
🧠 전략표를 만든 후 꼭 해야 할 3가지
- 프린트하거나 캘린더에 고정해두기
- 위기 때 쉽게 꺼내볼 수 있도록
- 분기마다 1회 전략 점검하기
- 시장 변화에 따라 소폭 조정할 수 있음 (절대 자주 바꾸지 말 것)
- 투자일지와 함께 사용하기
- 전략표는 ‘설계도’, 일지는 ‘진행상황 체크리스트’
🎯 부록: 포트폴리오에 자주 쓰이는 ETF 조합 예시
조합 이름 구성 예시 특징
미국성장형 | S&P500(70%) + 미국채(30%) | 안정적 복리 성장 + 리스크 분산 |
글로벌분산형 | S&P500(50%) + 유럽ETF(20%) + 신흥국ETF(20%) + 채권(10%) | 전 세계에 분산 투자 |
극단적보수형 | 예금(50%) + 채권ETF(30%) + S&P500(20%) | 투자금 손실에 민감한 경우 |
미래형 | AI/반도체 ETF(50%) + S&P500(30%) + 현금성자산(20%) | 테마+시장 평균 조합 |
💬 마무리하며
성공한 투자자는 “무엇을 샀느냐”보다
**“왜 그렇게 했느냐”**를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
이제 여러분도 계획 없는 투자자가 아닌
‘전략이 있는 투자자’로 나아갈 준비가 되셨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