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입문자를 위한 워크북 시리즈 ①
"돈이 일을 하게 하라" - 재테크의 첫걸음, 왜 그리고 어떻게?
📌 Intro: 월급은 그대로인데, 세상만 오르는 기분?
2025년 봄, 29살 직장인 A씨는 월급날이 달갑지 않습니다.
월급이 들어오면 대출 이자, 공과금, 식비, 교통비로 빠져나가고 나면 남는 건 몇 만 원 남짓.
“내가 이러려고 대학 나와서 회사 다니고 있는 건가…”
자괴감이 들던 어느 날, 우연히 유튜브에서 ‘돈이 돈을 버는 구조’에 대한 이야기를 듣습니다.
“왜 나는 늘 돈을 좇고, 돈은 나를 피할까?”
이 질문이 재테크의 시작이 됩니다.
🎯 재테크의 정의부터 다시 쓰자
재테크는 단순히 주식이나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이 아닙니다.
**"내 돈이 일하게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입니다.
✔ 돈을 벌고
✔ 돈을 지키고
✔ 돈을 불리고
✔ 돈을 흐르게 하는
이 4단계 루프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이 진짜 재테크입니다.
이 시리즈는 여러분이 각 단계를 하나하나 익혀갈 수 있도록 ‘워크북’ 형태로 안내할 예정입니다.
🔍 당신은 지금 어떤 재정 상태에 있나요?
재테크의 시작은 자신의 돈 흐름을 정확히 아는 것입니다.
다음 질문에 스스로 답해보세요.
- 당신의 한 달 수입은 얼마인가요? (세후 기준)
- 고정 지출과 변동 지출을 나눠 파악하고 있나요?
- 비상금은 얼마가 있나요?
- 현재 투자 중인 자산이 있나요? 없다면, 그 이유는?
- 돈에 대해 불안하거나 막연한 감정이 있다면, 그 감정은 무엇인가요?
💡 소득이 작아도, 지출이 명확하면 ‘투자 여력’은 생깁니다.
지금부터는 당신의 돈을 '추상적인 감정 대상'이 아닌, '숫자'로 정확히 바라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 재테크 로드맵: 입문자의 3단계 전략
재테크 초보자라면 아래 단계를 차근차근 밟아야 합니다.
모든 것은 ‘기초 체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1단계. 돈의 흐름을 통제하라 (지출 파악 + 비상금 구축)
- 3개월치 지출을 기록하여 패턴을 파악
- 고정/변동 지출 구분
- 비상금 최소 300만 원 확보 (월 고정지출 3~6개월 분)
2단계. 금융 기초를 다져라 (금융 문해력 + 적금/보험/세금 이해)
- 금융 상품 기본 용어 정리: CMA, ETF, ISA, IRP 등
- 본인의 보험 현황 점검 (보장성 vs 저축성)
- 세금 관련 기본 지식 정리 (근로소득세, 연말정산, 절세 상품 등)
3단계. 첫 투자를 시작하라 (작게, 꾸준히, 위험 분산)
- ETF부터 시작하는 투자 연습
- 자동이체 설정으로 꾸준히 적립
- 리스크 분산의 원칙: “한 바구니에 담지 말 것”
📘 워크북 미션: 당신의 돈을 숫자로 써보세요
이번 회차에서 당신이 해야 할 미션입니다.
- 엑셀이나 가계부 앱을 열고, 지난 3개월 수입/지출을 모두 정리해보세요.
- 고정지출/변동지출을 색깔로 구분해 보세요.
- 통장 쪼개기를 시작해보세요. (생활비/비상금/목표자금/소비용 등)
다음 편에서는 **"통장 설계와 가계 재구성 전략"**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겠습니다.
💬 마무리하며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를 시작하려다 주식, 코인, 부동산 등 ‘결과물’에만 눈이 가서 결국 손해를 봅니다.
하지만 진짜 고수는 기초 체력이 다릅니다.
돈에 대한 습관, 사고방식, 기록력부터 바꾸는 것이 가장 강력한 무기입니다.
이 시리즈가 끝날 무렵, 여러분은 "나는 돈에 휘둘리지 않는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겁니다.
지금은 그 여정의 첫 발걸음입니다. 함께 시작해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