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세우는 신학 및 신앙

1. 그리스도교 신학에서 무로부터 창조 교리의 중요성을 성서적 근거를 통해 밝히시오

불타는 신디 2025. 3. 29. 12:52
728x90
반응형

 헬라 철학이 물질의 영원성을 포함하는 이원론(dualism) 속에서 혹은 세계를 하나님의 외적인 현현으로 삼는 유출의 과정 속에서 세계를 설명하려고 한다면, 기독 교회는 아주 시초부터 무로부터(cx nihilo) 창조론과 하나님의 자유로운 행동으로서의 창조론을 가르쳤다. 창조론애 관한 성경적인 증거는 단지 성경의 제한된 부분에서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의 부분에서 발견된다.

1)    창조사역에서의 하나님의 전능을 강조하는 구절들( 40:26, 28; 4:13)

2)    위대하시고 무한하신 하나님으로서 자연 위에 그의 뛰어나심을 가리키는 구절들(90:2 ; 102:26,27 ; 17:24)

3)    창조사역에서의 하나님의 지혜를 언급하는 구절들( 40:12-14 ; 10:12-16 ; 1:3)

4)    창조를 하나님의 주권과 목적의 사역으로 언급하는 구절들( 43:7 ; 1:25)

5)    창조를 하나님의 기본적인 사역으로 언급하는 구절들(고전 11:9 ; 1:25)

 

 초대교회에서 창조하다 어떤 것을 무로부터 생성하게 하다라는 엄격한 의미로 이해되었다. 엄격한 의미에서 창조는 하나님이 자신의 주권적인 의지에 의하여 자신의 영광을 위해 태초에 모든 가시적이고 불가시적인 우주를, 이미 있는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생기게 하시고 그리하여 자신과 구별되면서도 언제나 자신에게 의존하는 실체가 되게 하신 하나님의 자유로운 행동으로 정의될 있다.

볼레비우스는 창조는 하나님께서 그의 권능과 지혜와 선하심의 영광을 드러내시기 위하여 세계와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일부는 무로부터 일부는 성질성 부적합한 재료로부터 산출하시는 행동이다라고 정의한다.

1)    창조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행동이다. 성경은 우리에게 삼위일체 하나님이 창조의 조성자( 1:1 ; 40:12 ; 44:24 ; 45:12)이며 사실에서 하나님이 우상들과 구별된다.

2)    창조는 하나님의 자유로운 행동이다. 하나님의 존재 내에서의 위의 사역들인 발생(generation) 아들 (filiation) 발출(procession)이다.

3)    창조는 하나님의 시간적인 행동이다. 성경은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라는 매우 간단한 진술로 시작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세계과 시간 내에서 창조되었다고 주장하기보다 시간과 함께 창조되었다고 말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했다. 하나님의 영원은 무한한 연장된 시간이 아니라, 우리가 아무런 개념도 형성할 없는 본질적으로 다른 어떤 것이다. 하나님의 영원은 무시간적인 존재, 영원한 현존이다. 하나님의 몬든 행동들이 영원하다는 의미에서만 그러하다. 성자의 발생은 절대적인 의미에서 하나님의 내재적인 행동이지만 창조는 시간적인 존재로 귀결되고 시간으로 종결되기 때문이다.

4)    창조는 어떤 것이 무로부터 생기게 하는 행동이다.

(1)  창조론은 절대적으로 독특하다. 성경적 창조론은 장엄하게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1:1)”

(2)  무로부터 창조하거나 생성하다라는 표현은 성경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외경의 하나인 마카베오하 7:28에서 유래한다. 그러나 잘못 해석되고 비판되어왔다. 무로부터의 창조론의 성경적인 근거는 1:1 창조사역의 시작을 기록하고 있으나 하나님이 기존 재료로부터 세계를 생성하신 것으로 묘사하지 않는 것이 분명하다. 그것은 무로부터의 창조, 엄밀한 의미의 창조였으므로, 칼빈은 1장에 기록된 사역의 한부분에서만 용어를 적용하려고 했다. 11:3 창조는 우리가 맏음으로만 이해할 있는 사실로 묘사된다.

5)    창조는 세계로 하여금 구별되면서도 항상 의존적인 존재를 부여한다.

(1)  세계는 특별한 존재이다. 창조론은 하나님이 자존적이고 자족적이며 무한하고 영원한 반면, 세계는 의존적이고 유한하며 시간적이라는 사실을 의미한다.

(2)  세계는 항상 하나님을 의존한다. 하나님이 세계를 자신과 구별되게 존재하도록 하셨지만, 그는 세계의 창조 이후에 뒤로 물러가시지 않고 세계와 가장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셨다. 하나님은 피조물 위에 무한히 높이 계시는 초월적인 하나님이실 뿐만 아니라, 또한 창조의 부분에 임재하시며, 그의 영이 모든 세계 내에서 활동하시는 내재적인 하나님이다.

6)    창조에서의 하나님의 궁극적인 목적은 역사의 과정 속에서 특별히 가지로 답변되어 왔다.

(1)  인간 혹은 인류의 행복이 창조의 최상의 목적이 되는 목적론적인 견해는 창조의 목적으로 삼으실 없다는 취지인데, 이유는 하나님이 자족적이며 또한 아무것도 필요로 하시지 않기 때문이다.

(2)  하나님의 선포적인 영광 ;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창조의 참된 목적을 하나님이외의 것에서 찾지 않고, 하나님 자신, 특별히 하나님의 고유한 탁월성의 외적인 현현에서 찾았다. 하나님께서는 우선 영광을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의 영광을 발현시키며 나타내시기 위해서 창조하셨다. 창조에서의 하나님의 최고의 목적 하나님의 영광의 현현은, 예속되는 목적들로 피조물들의 행복과 구원, 그리고 감사와 찬미의 마음으로부터 받는 찬양을 포함한다. 무한하신 하나님은 창조 안에서의 최고의 목적 이외에는 어떤 목적도 선택하시지 않으며, 목적은 하나님 안에서만 발견될 있다. 하나님의 영광은 그의 독립성과 주권성과 일치죄는 유일한 목적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