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머리말
약어표
제1부 선지서 주해의 원리
제1장 선지자는 누구인가?: 선지자의 임무와 기능
제2장 심판 본문의 해석법
제3장 선지서 해석의 기본 지침
제4장 선지서의 문학 장르
제5장 선지서의 수사기법
제2부 대선지서의 분석과 메시지
제6장 이사야서의 분석과 메시지
제7장 예레미야서의 분석과 메시지
제8장 에스겔서의 분석과 메시지
참고문헌
찾아보기
『선지서 주해 연구』는 선지서를 설교하려는 목회자들과 신학생들을 위해 쓴 책이다. 선지서 자체에 관한 이론을 다듬기보다는 실제적인 목적, 즉 선지서를 설교하는 이들의 본문 주해를 돕기 위해 쓰였다. 1부에서는 선지서 주해의 원리 일반을 다루고, 2부에서는 대선지서 세권에 대해 분석했다.
도서관 소장 정보 국립중앙도서관
합신대학원에서 구약학 교수로 제직중인 현창학 교수의 선지서 주해 연구는 선지서를 설교하려는 목회자들과 신학생들을 위해 쓰여진 책입니다.
선지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선지자가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성경저자에 대한 고찰을 비롯해서, 선지자가 누구인지를 알아야 그 당시 선지자의 역할에 대해 제대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선지자는 하나님의 종이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말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하는 기능적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이것은 곧 선지자들의 영적 권위를 결정하는 것이었습니다.
선지서를 설교에서 제외시키는 이유가 바로 심판본문을 어떻게 해석하고, 주해하고, 설교할 것인가의 문제와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심판본문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렇다 보니, 현대 교회에서 설교본문으로 정하지 않습니다.
그러면, 심판본문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입니다.
선지서는 복합적인 장르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선지자들의 선포는 거의 다 운문체, 즉 시의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이야기체(네러티브)를 포함하고 있고, 때로는 산문체의 형식을 띄기도 합니다.
가장 문제가 될 수 있는 운문체에 대해 주로 다루고 있습니다.
문학장르가 중요하게 되면, 수사기법이 중요하게 됩니다.
특히, 현창학 교수는 호주의 콘래드에게 사사를 받은 영향으로 수사기법을 아주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그 이후, 대 선지서 3개,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을 세부적으로 다루면서, 비교, 분석하고 있습니다.
저도 선지서가 가장 어렵고, 까다로운 본문중 하나였는데, 이 책을 통해 조금이나마 선지서 이해와 설교방향성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내가 읽은 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해석학(성경해석의 일반적 규칙과 각 권의 개별규칙)을 읽고나서 (0) | 2014.06.18 |
---|---|
긍정의 배신(긍정적 사고는 어떻게 우리의 발등을 찍는가)를 읽고나서 (0) | 2014.06.17 |
'한국교회사'를 읽고 나서-서평 (0) | 2014.06.14 |
'새롭게 읽는 선지서'를 읽고나서 (0) | 2014.06.14 |
'한권으로 읽는 이사야서'를 읽고나서 (0) | 2014.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