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가 읽은 도서 18

소크라테스의 생각해볼만한 것

소크라테스의 생각해볼만한 것 기원전 5세기부터 희랍 곳곳의 지식인들이 수도 아테네로 몰려들기 시작했다. 그들은 스스로 “지혜로운 사람”으로 자처했다. “현명한 사람”으로 자처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사람들 앞에서 다음과 같이 장담했다. “나는 재산을 모으는 지혜를 너희에게 가르쳐 주겠다. 나는 권력을 얻는 지혜를 너희에게 가르쳐 주겠다. 나는 명예를 획득하는 슬기를 너희에게 전수해 주겠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나는 사람들을 설득시키는 지혜를 너희에게 가르쳐 주겠다.” 이렇게 그들은 사람들에게 큰소리쳤다. 그리하여 당시 아테네의 젊은이들은 그들 곁으로 구름같이 몰려들었다. 이들 속에는 젊은 플라톤도 끼어 있었다. 우리는 이렇게 외치던 이들을 사상사 속에서 소피스트라고 부른다. 당시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에서 젊..

'회심의 변질'을 읽고나서 서평

저자소개 알렌 크라이더는 미국에서 태어나 고셴 대학교(Goshen College)와 프린스턴 대학교, 하이델베르그 대학교에서 역사를 전공했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역사학자이면서 동시에 교회사가로서, 초대교회의 예배와 전도 등 초기 기독교 세계의 다양한 삶과 평화주의 전통을 연구했으며, 그의 연구는 오늘날의 교회회복과 부흥을 갈망하는 그리스도인에게 새로운 통찰과 도전을 준다. 저서로는 [초대교회의 예배와 전도], [평화교회는 가능한가], [거룩함으로의 여정](이하 KAP) 등이 국내에 번역·소개되었고, 최근의 저서는 Social Holiness: A Way of Living for God's Nation(2008), Resident But Alien: How the Early C..

[스크랩] 주사보다 무서운 영리 병원 이야기 '의료괴담'-아직 읽지 않았지만, 꼭 읽고 싶은 책

세월호의 침몰이 노후 선박의 도입과 사용을 가능하게 해준 기업 규제 완화의 결과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남태현 교수 등 재미 교수들과 외국인 학자 등 1,074명이 ‘신자유주의적 규제 완화가 세월호 참사의 근본적 문제’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노후 선박의 사용 기간 연장만으로도 연간 300억 원 정도의 경제 활성화 효과를 볼 것이라 선전했던 선박 관련 규제 완화가 300여 명의 꽃다운 우리 아들딸들의 생명을 빼앗아간 것이다. 연간 수조 원의 경제효과가 있다고 선전하며 현 정부가 밀어붙이는 의료민영화 관련 규제 완화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질병과 사망으로 몰아갈지 상상만으로도 모골이 송연해진다. 모든 어르신들에게 20만 원의 기초연금을 지급하겠다는 공약이 예산의 이유로 대상자를 줄이거나 여러 가지 조건을 붙여서..

성경해석학(성경해석의 일반적 규칙과 각 권의 개별규칙)을 읽고나서

목차 추천사 1(류호준) 추천사 2(류응렬)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서론 제1부 해석의 일반규칙 1장 해석학 개론: 누가 규칙을 만드는가? 2장 해석학 용어: 규칙 정하기 3장 성령과 성경해석: 누가 경기에 참여하는가? 4장 같은 책, 다른 경기: 성경의 다양한 문학 양식 제2부 개별 경기를 위한 특별규칙 5장 지혜의 경기 - 잠언 6장 예견의 경기 - 예언 7장 운율의 경기 - 시 8장 특별 용어의 경기 - 관용어 9장 과장의 경기 - 과장법 10장 비교의 경기 - 비유 11장 이야기의 경기 - 성경 이야기 12장 서신의 경기 - 서신서 13장 조약, 율법, 노래의 경기 용어 해설 참고문헌 주제 색인 저자소개 로버트 H. 스타인 저자 : 로버트 H. 스타인 저자 로버트 H. 스타인(ROBERT H. ST..

긍정의 배신(긍정적 사고는 어떻게 우리의 발등을 찍는가)를 읽고나서

저자소개바버라 에런라이크저자 : 바버라 에런라이크 저자 바버라 에런라이크는 1941년 미국 몬태나 주에서 태어나 록펠러 대학에서 세포생물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도시 빈민의 건강권을 옹호하는 비영리단체에서 일하다 전업 작가로 나선 그는 미국 저임 노동자들의 암울한 상황을 직접 체험해 고발한 『Nickel and Dimed』로 명성을 얻었다. 1998년 미국휴머니스트협회에 의해 ‘올해의 휴머니스트’로 선정되기도 했다. 지금까지 20여 권의 책을 썼고 현재 『뉴욕 타임스』 『타임』 『하퍼스』 『네이션』 등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이 책은 에런라이크 자신의 생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지난 2000년 유방암으로 치료를 받던 그는 다른 환자들에게서 ‘암은 축복’이라는 식의, 극도로 긍정적인 태도를 ..

선지서 주해 연구를 읽고 나서...

목차머리말 약어표 제1부 선지서 주해의 원리 제1장 선지자는 누구인가?: 선지자의 임무와 기능 제2장 심판 본문의 해석법 제3장 선지서 해석의 기본 지침 제4장 선지서의 문학 장르 제5장 선지서의 수사기법 제2부 대선지서의 분석과 메시지 제6장 이사야서의 분석과 메시지 제7장 예레미야서의 분석과 메시지 제8장 에스겔서의 분석과 메시지 참고문헌 찾아보기『선지서 주해 연구』는 선지서를 설교하려는 목회자들과 신학생들을 위해 쓴 책이다. 선지서 자체에 관한 이론을 다듬기보다는 실제적인 목적, 즉 선지서를 설교하는 이들의 본문 주해를 돕기 위해 쓰였다. 1부에서는 선지서 주해의 원리 일반을 다루고, 2부에서는 대선지서 세권에 대해 분석했다.저자 현창학|합신대학원출판부 |2013.11.01페이지 267|ISBN 9..

'한국교회사'를 읽고 나서-서평

목차 한국 교회사 연구 방법론 1. 한국 교회사의 주요 저서와 논문 2. 한국 교회와 교회의 전통 3. 한국 교회사에 과제 한국 기독교사와 경교 1. 동서의 교류와 기독교의 전래 2. 경교의 중국 전래 3. 한반도에 경교가 전래되었는가 4. 경교의 신앙 개조 5. 정토교는 경교의 영향을 받은 것인가 로마 가톨릭교의 선교와 한국 천주교 1. 로마 가톨릭교의 전래 2. 한국 천주교회의 설립 3. 전추교의 수난 개신교의 한반도 선교 시작 1. 최초의 선교 시도 2. 선교 이전의 성경 번역 3. 열강의 식민지 확장과 세계 선교 4. 선교사들의 입국 5. 한국에서의 기독교 선교와 수용 6. 선교사들의 문화 사업 7. 초대 선교사들의 전도 활동과 교회 설립 8. 선교 정책 한국 개신교 교회 설립 1. 정치적 환경과..

'새롭게 읽는 선지서'를 읽고나서

저자소개 에드가 W. 콘래드 저자 : 에드가 W. 콘래드 저자 에드가 W. 콘래드(EDGAR W. CONRAD)는 선지서의 통일성 연구의 권위자로 알려진 콘래드 박사는 호주의 퀸즈랜드대학교에서 구약학을 가르치다 지금은 은퇴하여 저술에 전념하고 있다. 그의 대표적인 역작, READING ISAIAH (FORTRESS PRESS, 1991)는 본문을 파편화시켰던 역사비평학적 이사야서 해석에 큰 도전을 주었으며 이사야서의 통일성 연구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해주었다. 또한 그의 저서, READING THE LATTER PROPHETIC BOOKS (T&T CLARK, 2003)는 정경적 해석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학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최근에는 신문 등 대중 매체에서 성경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

'한권으로 읽는 이사야서'를 읽고나서

목차 제1부 | 이사야 통일성에 대한 현대의 연구사 들어가는 말 역사비평의 희생양 이사야서 새롭게 조명되는 이사야서의 통일성 제1장 전통적 접근 방식 존 오스왈트 알렉 모티어 허버트 울프 평가 제2장 편집비평적 접근 방식 로날드 클레멘츠 롤프 렌토르프 마빈 스위니 평가 제3장 정경적 접근 방식 브레바드 차일즈 크리스토퍼 자이츠 폴 하우스 평가 제4장 문학적 접근 방식 에드가 콘래드 캐서린 다아 배리 웹 평가 제5장 이데올로기적 접근 방식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1. ‘이데올로기’ 용어의 기원 2. ‘이데올로기’의 다양한 이해 ‘이데올로기 성경 해석’이란 무엇인가? 라토의 이데올로기적 이사야서 해석 평가 제6장 주제적 접근 방식 월터 카이저 윌리암 덤브렐 버나드 앤더슨 평가 나가는 말 제2부 | 한 권..

유엔미래 보고서 2040

요 근래, 수많은 기사들을 보다보면, 많은 발명들을 해내고 있습니다.이런 과학문명의 발달을 통해 인간의 편리함이 찾아오는 듯 하지만, 결국 몇몇의 상류사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은 디스토피아에서 살게 될 것 같습니다. 돈과 권력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와 힘을 통해 유토피아가 되겠지만, 상당수는 일자리를 비롯해서 많은 부분에서 인간적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는 그런 자리가 될 것 같습니다. 급변하는 이 사회 속에서 미래를 준비하지 않으면, 도태되는 것은 당연할 겁니다. 앞으로 미래사회가 어떻게 변하고, 어떤 모습이 될지 '유엔 미래 보고서 2040'을 보면 좀 더 예측하기 쉬울 겁니다. 미래를 준비하는 자만이 미래에서 살아남습니다. SF 영화가 이제는 현실이 되는 그날이 멀지 않은 듯..

728x90
반응형